[교육농]시작이 반이다(방효신)

2022-02-28
조회수 899

교육농 / 나의 학교 텃밭, 3월




시작이 반이다

방효신 서울 청운초




▲홍동 풀무학교 전공부 재학 때 갈무리했던 토종무를 씨를 받으려고 학교 텃밭에 심었다. 사진에 보듯이 2개였으나, 하나는 어느 날 사라져 버렸다. 



텃밭, 작년 농사 달력 살펴보기


햇볕 들기 정도나 해의 방향, 통풍을 확인합니다. 주변 나무나 식물의 상태도 확인합니다. 날이 풀리면 행정실에 수도관 밸브를 열어 달라고 하세요.

작년(2021년) 탁상 달력에 적어놓은 내용을 보며 3월 흐름을 확인합니다.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1

2

3





4

5

6





3.1절


개학식


수선화, 튤립 소개(2.19)

경칩-24절기


 

 

 

퇴비2고랑

 

 

 

물품주문1차

7






8

9






10

11






12

13






별꽃, 

광대나물, 냉이

농사월령가

포크질, 석회, 붕사

 

텃밭퇴비내기

 

 

무, 당근 

채종용 심기

 

14






15

16

17

18






19

20

수미감자 심기, 양배추와 초당옥수수 모종 냄, 넝쿨 잡초 걷어내기, 쓰레기 버림

완두콩 심기, 쌀귀리 상자논에 뿌리기



자영감자 심음, 모종판 배수되는 받침대로 바꿈, 표고버섯 설치

상자텃밭, 하우스틀밭, 노지상자 2/3 퇴비내기


춘분-24절기





21






22






23






24

25






26






27

하우스 안 당근, 토종시금치, 풍선초, 수세미, 봉선화, 미니양배추, 래디쉬 씨앗뿌림

하우스 문 안 닫음 ㅠ

28







29







30

31







 

 

 

수세미, 풍선초, 노지 씨앗 심기, 당근 채종용 다시 심음, 퇴비 추가로 뿌림-섞지 않음


채종 씨앗 정리, 준비물 구입


나만의 씨앗 보관함이 있을 거예요! 저는 작년에 채종한 시금치 씨, 완두를 3월에 심습니다. 올해 심어야 할 씨앗과 좀 묵혀도 되는 씨앗을 분류해 보세요. 씨앗에 곰팡이가 생겼거나, 귀찮아서 부실한 씨앗이 섞인 종이 봉투도 있을 겁니다. 학생들과 채종할 때 추억을 떠올리며 씨앗을 정리합니다. 새로 만난 학생들과 같이해도 좋겠습니다. 4월 곡우 이후로 노지에 파종할 씨앗이나 모종을 만들 씨앗은 종묘상에서 미리 구매해도 좋겠습니다. 양파망에 넣어 신문지로 감싸 냉장 보관한 수선화와 튤립 구근은 미리 상온에 꺼내둡니다.


한국 호미, 일본 호미, 작물 이름표, 볏짚

서서 하는 농기구들이 있지만 3월에는 호미만 있어도 만사 오케이. 척박한 땅이라도 구덩이를 파서 물을 조금 넣은 뒤 흙이 젖으면 수선화와 튤립 구근을 놓고 흙을 덮습니다. 구근 크기의 3배 정도 깊이로 싹이 위를 향하게 심어요. 이름표를 눈에 띄게 꽂고, 밤은 추우니 볏짚을 덮습니다. 논농사를 안 하신 분은 왕겨를 인터넷으로 사세요. 꽃이 필 때까지 물은 거의 주지 않습니다. 자연적인 빗물이면 충분합니다. 3월에 너무 가물면 한 번씩 물을 주어도 좋습니다. 윗거름은 4월에 얇게 얹어 줍니다. 볏짚 밑으로 넣으면 되겠죠.


작물 이름표를 쓰는 법 : 작물 이름, 심은 날짜, 심은 사람

파종 뒤 이름표를 꽂아야 무엇을 심었는지 남들도 인지할 수 있고, 함부로 흙을 파헤치거나 밟지 않습니다. 

통로가 아니라면 흙은 밟지 않습니다. 특히 비온 뒤 텃밭을 밟으면 딱딱하게 굳어 싹이 올라오기 어렵고 쓸모없는 땅이 됩니다. 

심은 날짜를 적어 놔야 제때 싹이 나는지, 시기상 작물의 키가 적당한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8월 가을 농사 전에 작물을 정리할 경우 이름표도 같이 뽑습니다. 텃밭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섞이지 않도록 항상 유의합니다. 

5월 방울토마토나 아삭이 고추 지주대를 세울 때 빵끈이 아니라 마끈으로 묶어 주세요. 손에서 놓쳐도 삭아서 흙과 섞이기 때문입니다. 작물은 쇠 지주대보다 나무 지주대를 좋아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세요. 3월 초에 학교 주무관이나 용역 업체에서 학교 나무 가지치기를 하고 쌓아두면 톱으로 잘라 5개씩 묶어 보관해 두세요.



학생들과 할 일


함께 둘러보기

학교 화단이나 텃밭을 구경갑니다. 지난해에 텃밭을 해 본 친구들도 있고, 집에서 주말농장을 하면 이미 둘러본 친구들도 반에 한 명은 있을 거예요. 나무의 겨울눈을 보고, 땅에 납작 엎드린 풀들이 연둣빛을 어디에 품고 있는지, 냉이나 쑥이 주로 어디 있었는지 기억을 더듬어 봅니다.


농가월령가 2월령 소리내어 읽기

정학유의 농가월령가 2월령(양력으로 3월이므로)을 복사해서 나눠 주고, 한 줄씩 번갈아 소리내어 읽습니다. 24절기 중 3, 4번째인 경칩과 춘분을 그날 아침에 소개하며 관련 속담과 할 일을 공책에 적습니다. 춘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므로, 농가에서는 이때부터 일하는 시간이 길어진다고 말합니다. 


상상하고 작부표 만들기

섞어짓기, 돌려짓기, 3월 중순 감자와 완두콩 심기 


밑거름 내고, 상자나 밭에 볏짚 덮기

미생물이 볏짚 아래에서 무기화된 흙을 유기질로 바꿔 주고, 작물은 유기 퇴비의 질소도 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텃밭에 무엇인가 덮어 두면 흙이 마르지 않고 바람에 날아온 잡초씨가 앉지 못하기도 합니다.



업무 분장에 내 일이 아니라도


틈틈히 같이 할 사람 물색

자주, 일찍 혹은 늦게 텃밭 주변을 산책합니다. 주무관, 교장, 경력 교사 등을 만날 확률이 높습니다. 올해 분위기를 파악하고 관심사를 나눕니다. 환경교육 업무 담당자에게 예산 사용 여지가 있는지 물어보고, 협조를 부탁합니다.


밑거름이 중심이냐, 덧거름을 쓸 것이냐

이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밭갈이를 하지 않더라도 3월 초에 석회를 물에 녹여서 물조리개로 한 번씩 왔다갔다 해 주세요. 그래야 잎이 좀 두꺼워져 벌레의 피해가 적고 친환경 약제도 안 칠 수 있어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