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12.21.목요일

그림 이상대 조합원
익숙한 모습이지요? 네, 마트에서 판매하는 브로콜리입니다. 흰색 스티로폼 용기에 넣고 래핑을 해서 무척 반짝반짝 깨끗하게 보입니다. 누군가 애써 키웠을 이 '꽃'은 그러나 쓰레기로 치장돼 있습니다. 우리가 곧 집에 가져 가서 포장했던 비닐을 벗기고 스티로폼과 같이 쓰레기통에 버릴 테니까요.
밑줄독서회와 송년 모임
다음 주 28일(목)에 만나요~~

2023년도 또한 아픔과 분노를 겪은 해입니다. 교수신문은 올해 사자성어로 ‘견리망의(見利忘義)’를 꼽았습니다. 현 정치 상황을 떠올리게 하는 사자성어이지만, 어찌 보면 경제성장과 발전만을 추구, 지구의 위기를 초래한 인류를 떠올리기도 합니다. 28일에는 만나서 이야기 나눕니다. 올해를 마감하는 밑줄독서회 자리로 송년회를 같이합니다. 이야기도 나누고 얼굴도 보고 음식을 곁들입니다~^^
일시 : 12월 28일(목), 오후 6시
장소 : 벗 나눔공방(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 30, 2층. 망원역 1번 출구 482m, 7분 거리)
밑줄책 : 모두를 위한 지구(6~9장, 6장 강주의, 7~8장 김경희 발제)
준비물 : 2023년을 함께해 온, 그리고 2024년을 함께할 서로를 응원하는 마음
교육농 겨울 연수
일시 : 2024년 1월 23일(화) 오전 10시~ 오후 3시
장소 : 현대정치철학연구회(서울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역에서 557m, 8분 거리)
참가비 : 1만원(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교육공동체 벗 조합원은 무료)
참가 신청 : https://forms.gle/NQ3V8ygZvha6Hftp8
1강, 기후위기시대, 교육의 생태적 전환, 박복선(교육공동체 벗 전환교육연구소 소장), 오전 10시
생태 위기가 심화되면서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고, 좋은 현장 실천 사례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생태적 전환’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과 실천은 환경교육의 확장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생태적 전환은 ‘근대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에 대해 상상하고 실험해 보는 의식적 혁명 과정이고, 이것은 넓은 의미의 교육에 의해서만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세우고, 자기 자리에서 무엇을 할지 동료들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생태전환교육의 처음이다.
2강, 기후위기시대, 교육농의 성찰, 우리는 무엇을 하지 말고 해야 하는가? -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를 검토하며, 정용주(천왕초 교장), 오후 1시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는 성장과 발전의 추종으로 빚어진 지구의 위기, 미래의 ‘불확실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세세히 들여다보면 이미 우리가 아는 익숙한 용어들과 내용인 것도 같다. 그러나... 정말 그러한가? 그렇다면 우리 교육은 왜 바뀌지 않고 있는 것일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교육농은 무엇은 하지 말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문제의식으로 보고서를 들여다보자.
교육농총회
다음과 같이 교육농총회를 엽니다.^^
일시 : 2024년 2월 14일(수) 오후 2시
장소 : 교육공동체 벗 나눔공방
다시 보기
하승수, 돈벌이가 된 산업 쓰레기, 농촌은 병들어 간다
>>> 자세히 보기

《교육농 2023》 자료집 필요하신 분은 아래 계좌로 입금하시고 연락 주세요.
- 값 16,000(1권)+3,200(택배비)=19,200원
- 입금계좌 카카오뱅크 7979-30-11068 교육농협동조합
- 연락처 010-4827-0712(교육공동체 벗)
>>>자세하게 보기
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30, 2층
전화 010-4827-0712 / 02-332-0712
카페 https://cafe.naver.com/edunongcoop
밴드 https://band.us/band/8691973
메일 communebut@hanmail.net
교육농협동조합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순환에 가치를 두며 하늘과 땅에 기대어 더불어 즐겁게 농사짓고
오늘의 삶과 교육을 생태적으로 전환합니다.
2023.12.21.목요일
그림 이상대 조합원
익숙한 모습이지요? 네, 마트에서 판매하는 브로콜리입니다. 흰색 스티로폼 용기에 넣고 래핑을 해서 무척 반짝반짝 깨끗하게 보입니다. 누군가 애써 키웠을 이 '꽃'은 그러나 쓰레기로 치장돼 있습니다. 우리가 곧 집에 가져 가서 포장했던 비닐을 벗기고 스티로폼과 같이 쓰레기통에 버릴 테니까요.
밑줄독서회와 송년 모임
다음 주 28일(목)에 만나요~~
2023년도 또한 아픔과 분노를 겪은 해입니다. 교수신문은 올해 사자성어로 ‘견리망의(見利忘義)’를 꼽았습니다. 현 정치 상황을 떠올리게 하는 사자성어이지만, 어찌 보면 경제성장과 발전만을 추구, 지구의 위기를 초래한 인류를 떠올리기도 합니다. 28일에는 만나서 이야기 나눕니다. 올해를 마감하는 밑줄독서회 자리로 송년회를 같이합니다. 이야기도 나누고 얼굴도 보고 음식을 곁들입니다~^^
일시 : 12월 28일(목), 오후 6시
장소 : 벗 나눔공방(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 30, 2층. 망원역 1번 출구 482m, 7분 거리)
밑줄책 : 모두를 위한 지구(6~9장, 6장 강주의, 7~8장 김경희 발제)
준비물 : 2023년을 함께해 온, 그리고 2024년을 함께할 서로를 응원하는 마음
교육농 겨울 연수
일시 : 2024년 1월 23일(화) 오전 10시~ 오후 3시
장소 : 현대정치철학연구회(서울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역에서 557m, 8분 거리)
참가비 : 1만원(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교육공동체 벗 조합원은 무료)
참가 신청 : https://forms.gle/NQ3V8ygZvha6Hftp8
1강, 기후위기시대, 교육의 생태적 전환, 박복선(교육공동체 벗 전환교육연구소 소장), 오전 10시
생태 위기가 심화되면서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고, 좋은 현장 실천 사례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생태적 전환’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과 실천은 환경교육의 확장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생태적 전환은 ‘근대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에 대해 상상하고 실험해 보는 의식적 혁명 과정이고, 이것은 넓은 의미의 교육에 의해서만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세우고, 자기 자리에서 무엇을 할지 동료들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생태전환교육의 처음이다.
2강, 기후위기시대, 교육농의 성찰, 우리는 무엇을 하지 말고 해야 하는가? -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를 검토하며, 정용주(천왕초 교장), 오후 1시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는 성장과 발전의 추종으로 빚어진 지구의 위기, 미래의 ‘불확실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세세히 들여다보면 이미 우리가 아는 익숙한 용어들과 내용인 것도 같다. 그러나... 정말 그러한가? 그렇다면 우리 교육은 왜 바뀌지 않고 있는 것일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교육농은 무엇은 하지 말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문제의식으로 보고서를 들여다보자.
교육농총회
다음과 같이 교육농총회를 엽니다.^^
일시 : 2024년 2월 14일(수) 오후 2시
장소 : 교육공동체 벗 나눔공방
다시 보기
하승수, 돈벌이가 된 산업 쓰레기, 농촌은 병들어 간다
>>> 자세히 보기
《교육농 2023》 자료집 필요하신 분은 아래 계좌로 입금하시고 연락 주세요.
- 값 16,000(1권)+3,200(택배비)=19,200원
- 입금계좌 카카오뱅크 7979-30-11068 교육농협동조합
- 연락처 010-4827-0712(교육공동체 벗)
>>>자세하게 보기
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30, 2층
전화 010-4827-0712 / 02-332-0712
카페 https://cafe.naver.com/edunongcoop
밴드 https://band.us/band/8691973
메일 communebut@hanmail.net
교육농협동조합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순환에 가치를 두며 하늘과 땅에 기대어 더불어 즐겁게 농사짓고
오늘의 삶과 교육을 생태적으로 전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