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12.29.금요일
교육농 겨울 연수 신청하세요
다음 이야기들을 시작으로 우리가 왜 교육농을 고민해 왔는지, 농사를, 생태적 전환을 교육의 길로 삼아왔는지 같이 고민을 나누고 실천을 함께할 수 있는 장을 열고자 합니다.
일시 : 2024년 1월 23일(화) 오전 10시~ 오후 3시
장소 : 현대정치철학연구회(서울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역에서 557m, 8분 거리)
참가비 : 1만원(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교육공동체 벗 조합원은 무료)
참가 신청 : https://forms.gle/NQ3V8ygZvha6Hftp8
1강, 기후위기시대, 교육의 생태적 전환, 박복선(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교육공동체 벗 전환교육연구소 소장), 오전 10시
생태 위기가 심화되면서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고, 좋은 현장 실천 사례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생태적 전환’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과 실천은 환경교육의 확장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생태적 전환은 ‘근대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에 대해 상상하고 실험해 보는 의식적 혁명 과정이고, 이것은 넓은 의미의 교육에 의해서만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세우고, 자기 자리에서 무엇을 할지 동료들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생태전환교육의 처음이다.
2강, 기후위기시대, 교육농의 성찰, 우리는 무엇을 하지 말고 해야 하는가? -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를 검토하며, 정용주(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천왕초 교장), 오후 1시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는 성장과 발전의 추종으로 빚어진 지구의 위기, 미래의 ‘불확실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세세히 들여다보면 이미 우리가 아는 익숙한 용어들과 내용인 것도 같다. 그러나... 정말 그러한가? 그렇다면 우리 교육은 왜 바뀌지 않고 있는 것일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교육농은 무엇은 하지 말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문제의식으로 보고서를 들여다보자.
참가 신청 : https://forms.gle/NQ3V8ygZvha6Hftp8
밑줄독서회
아니, 텃밭이, 학교가 자기 거야?

12월 28일 밑줄독서회, 모두를 위한 지구
"공유지에 대해 새롭게 다시 상상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을 이 지렛대들과 결합하여 잘 활용한다면, 추출주의 경제 시스템의 고리를 끊어냄으로써 순환적이면서도 재생적인 시스템을 만들고 급격한 이행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물질발자국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지구를 삶의 터전으로 가꾸어 가며 경제를 사람들의 삶에 부응하는 존재로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전환적 웰빙경제라고 부른다. 그것이 바로 ‘모두를 위한 지구’로 가는 길이다." - 《모두를 위한 지구》
12월 28일 저녁, 2023년을 마무리하는 밑줄독서회 및 송년 모임을 가졌습니다. 풀씨, 조진희, 방효신, 김경희, 강주희 조합원이 함께했습니다.
이날로 두 차례에 걸쳐서 《모두를 위한 지구》 밑줄독서를 마무리했습니다. 강주희 조합원은 학교 텃밭이 특정 관리자에 의해 망가지거나 없어지는 상황들을 겪으면서 ‘공유지 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생각해 왔는데, 《모두를 위한 지구》에서 ‘공유지’를 언급하고 있다며 반색을 했습니다. 실천과 맞닿는 논거들을 만나는 일은 무척 즐겁습니다. 밑줄독서회는 그럴 기회를 제공합니다. 2024년에도 밑줄독서회는 이어갑니다.
교육농총회
다음과 같이 교육농총회를 엽니다. 2023년을 결산하고 2024년에는 어떤 일을 할지 이야기 나눕니다.
일시 : 2024년 2월 14일(수) 오후 2시
장소 : 교육공동체 벗 나눔공방(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30, 2층. 망원역 1번 출구에서 7분 거리)
다시 보기
돈벌이가 된 산업 쓰레기, 농촌은 병들어 간다_ 하승수
>>> 자세히 보기

《교육농 2023》 자료집 필요하신 분은 아래 계좌로 입금하시고 연락 주세요.
- 값 16,000(1권)+3,200(택배비)=19,200원
- 입금계좌 카카오뱅크 7979-30-11068 교육농협동조합
- 연락처 010-4827-0712(교육공동체 벗)
>>>자세하게 보기
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30, 2층
전화 010-4827-0712 / 02-332-0712
카페 https://cafe.naver.com/edunongcoop
밴드 https://band.us/band/8691973
메일 communebut@hanmail.net
교육농협동조합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순환에 가치를 두며 하늘과 땅에 기대어 더불어 즐겁게 농사짓고
오늘의 삶과 교육을 생태적으로 전환합니다.
2023.12.29.금요일
교육농 겨울 연수 신청하세요
다음 이야기들을 시작으로 우리가 왜 교육농을 고민해 왔는지, 농사를, 생태적 전환을 교육의 길로 삼아왔는지 같이 고민을 나누고 실천을 함께할 수 있는 장을 열고자 합니다.
일시 : 2024년 1월 23일(화) 오전 10시~ 오후 3시
장소 : 현대정치철학연구회(서울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역에서 557m, 8분 거리)
참가비 : 1만원(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교육공동체 벗 조합원은 무료)
참가 신청 : https://forms.gle/NQ3V8ygZvha6Hftp8
1강, 기후위기시대, 교육의 생태적 전환, 박복선(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교육공동체 벗 전환교육연구소 소장), 오전 10시
생태 위기가 심화되면서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고, 좋은 현장 실천 사례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생태적 전환’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과 실천은 환경교육의 확장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생태적 전환은 ‘근대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에 대해 상상하고 실험해 보는 의식적 혁명 과정이고, 이것은 넓은 의미의 교육에 의해서만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세우고, 자기 자리에서 무엇을 할지 동료들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생태전환교육의 처음이다.
2강, 기후위기시대, 교육농의 성찰, 우리는 무엇을 하지 말고 해야 하는가? -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를 검토하며, 정용주(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천왕초 교장), 오후 1시
유네스코미래교육보고서는 성장과 발전의 추종으로 빚어진 지구의 위기, 미래의 ‘불확실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세세히 들여다보면 이미 우리가 아는 익숙한 용어들과 내용인 것도 같다. 그러나... 정말 그러한가? 그렇다면 우리 교육은 왜 바뀌지 않고 있는 것일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교육농은 무엇은 하지 말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문제의식으로 보고서를 들여다보자.
참가 신청 : https://forms.gle/NQ3V8ygZvha6Hftp8
밑줄독서회
아니, 텃밭이, 학교가 자기 거야?
12월 28일 밑줄독서회, 모두를 위한 지구
"공유지에 대해 새롭게 다시 상상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을 이 지렛대들과 결합하여 잘 활용한다면, 추출주의 경제 시스템의 고리를 끊어냄으로써 순환적이면서도 재생적인 시스템을 만들고 급격한 이행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물질발자국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지구를 삶의 터전으로 가꾸어 가며 경제를 사람들의 삶에 부응하는 존재로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전환적 웰빙경제라고 부른다. 그것이 바로 ‘모두를 위한 지구’로 가는 길이다." - 《모두를 위한 지구》
12월 28일 저녁, 2023년을 마무리하는 밑줄독서회 및 송년 모임을 가졌습니다. 풀씨, 조진희, 방효신, 김경희, 강주희 조합원이 함께했습니다.
이날로 두 차례에 걸쳐서 《모두를 위한 지구》 밑줄독서를 마무리했습니다. 강주희 조합원은 학교 텃밭이 특정 관리자에 의해 망가지거나 없어지는 상황들을 겪으면서 ‘공유지 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생각해 왔는데, 《모두를 위한 지구》에서 ‘공유지’를 언급하고 있다며 반색을 했습니다. 실천과 맞닿는 논거들을 만나는 일은 무척 즐겁습니다. 밑줄독서회는 그럴 기회를 제공합니다. 2024년에도 밑줄독서회는 이어갑니다.
교육농총회
다음과 같이 교육농총회를 엽니다. 2023년을 결산하고 2024년에는 어떤 일을 할지 이야기 나눕니다.
일시 : 2024년 2월 14일(수) 오후 2시
장소 : 교육공동체 벗 나눔공방(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30, 2층. 망원역 1번 출구에서 7분 거리)
다시 보기
돈벌이가 된 산업 쓰레기, 농촌은 병들어 간다_ 하승수
>>> 자세히 보기
《교육농 2023》 자료집 필요하신 분은 아래 계좌로 입금하시고 연락 주세요.
- 값 16,000(1권)+3,200(택배비)=19,200원
- 입금계좌 카카오뱅크 7979-30-11068 교육농협동조합
- 연락처 010-4827-0712(교육공동체 벗)
>>>자세하게 보기
서울 마포 성미산로1길30, 2층
전화 010-4827-0712 / 02-332-0712
카페 https://cafe.naver.com/edunongcoop
밴드 https://band.us/band/8691973
메일 communebut@hanmail.net
교육농협동조합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순환에 가치를 두며 하늘과 땅에 기대어 더불어 즐겁게 농사짓고
오늘의 삶과 교육을 생태적으로 전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