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24호] 텃밭과 정치의 가능성



텃밭과 정치의 가능성


지난 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 동안 “우리 학교에 논밭이 있어요”라는 주제로 제1회 교육농축제가 열렸다. 《오늘의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 온 ‘교육의 생태적 전환’이라는 담론이 ‘교육농’이라는 실천을 만들어 내고, 그 속에서 많은 실험과 인연이 엮여 교육농축제라는 작은 결실로 이어졌다. 교육농축제를 통해 함께 나누고 배웠던 이야기들을 지면으로 옮겨 보았다.

〈현장 중계-“우리 학교에 논밭이 있어요”〉는 뜨거웠던 그날의 열기를 담았다. 조한혜정 교수의 기조 강연부터 학교 안팎의 다양한 교육농 사례들, 그리고 워크숍으로 진행된 ‘적정기술’, ‘퍼머컬쳐 디자인’, ‘와일드푸드’까지. 다양하면서도 맛있었던 그날의 차림새를 글과 사진으로 함께 나눈다.

이어지는 세 글은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진 특별한 교육농 사례들이다. 정용주는 학교 안의 작은 텃밭 안에서 일어난 놀라운 교육적 경험을 공유한다. 그는 ‘교육과정’도 ‘평가’도 없는 텃밭 농사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속 빈 구상 대신 삶의 역동성이 피어났다고 말한다. 무원칙과 자율성이 기반이 된 텃밭에서 만들어진, 스스로를 통치하고 누구에 의해서도 대의되지 않는 정치적 공간의 탄생이다. 최문철은 장애 학생들의 배움터이자 일터인 꿈이자라는뜰의 사례를 통해 농생태교육이 가진 의미를 이야기한다. 그는 ‘몸에 익히는 교육’, ‘자립을 위한 직업’, ‘조화롭게 하는 치유’의 과정으로 ‘장애와 농업’의 관계를 재설정한다. 장애인이건 비장애인이건 농사를 지으면서 몸과 마음과 관계가 건강하게 성장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 경험에서 비롯된 그의 주장이다. 이동철은 실패한 노작교육 속에서 ‘텃밭정원’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실험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무리 교사의 의도가 선하더라도 학생들에게는 무의미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음을 겸손하게 인정하고, 학생들과 함께 배우는 자세를 취할 때 오히려 학생들의 자발성이 드러났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텃밭의 필요성을 느낀다면 너무 두려워 말고 당장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마지막으로 신소희는 교육농협동조합의 올 한 해 계획을 나눈다. 서울의 남태령과 무수골, 경기 여주의 수리실과 충남 홍성의 장곡까지. 곳곳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펼쳐지는 교육농 사례들이 기대된다.

생태교육을 넘어 교육의 생태성에 대해 묻고자 하는 ‘교육의 생태적 전환’은 진보적 교육운동조차 경도돼 있는 생산성과 효율성, 능력주의에 대한 중요한 메타포를 함의하고 있다. 자연의 일부로서 삶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과 자각은 곧 차별과 배제가 만연한 우리 교육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연결된다. 질문으로 시작했기에 아직은 거시 담론과 미시 담론 사이, 관념과 실천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 여정에 벗들도 함께해 주길 바란다.


목차


바라보다 

004| 최승훈 기자 PDF


특별 기획/ 텃밭과 정치의 가능성

006 현장 중계 “우리 학교에 논밭이 있어요” | 최승훈, 김도연 기자  PDF 

016 정치적 실천으로서 텃밭 농사 | 정용주  PDF 

038 농사를 지으며 건강하게 자라나는 아이들 | 최문철  PDF 

049 텃밭이 힘들다면 텃밭정원은 어때요? |이동철 PDF 

056 2015년 교육농협동조합, 여전히 정성으로 함께 농사짓기를 바랍니다 | 신소희 PDF 


기획 1/ 교육 불가능 깊게 읽기, 다르게 읽기

062 새삼스레, ‘교육 불가능’ | 치이즈, 무기질, 따이루, 공현 PDF 

081 교육 불가능의 시대, 평생교육은 가능한가? | 겨울나무 PDF 

095 오늘, 다시 출발선에 서서 | 윤상혁 PDF 

110 전환기술과 전환교육 | 김환희  (비게재)


기획 2/ 학교협동조합, 이상과 현실 사이

125 학교협동조합의 현재와 고민, 그리고 교육적 가능성 | 주수원 PDF 

136 준비만 몇 년째, 광휘고 협동조합매점 이야기 | 김수현 PDF 

150 우리는 왜 협동조합이었나? | 윤가야, 오선재, 강유진, 강다운 PDF 


기획 3/ 청년들에게는 비빌 언덕이 필요하다

161 시골에서 꿈을 살자 | 김영주 PDF 

- 청년공판장@동강

170 일하는 청년들의 ‘비빌 언덕’ | 이정현 PDF 

- 사회적협동조합 일하는학교


지난 호 특집 〈직업으로서의 교사〉 후속 기획

180 교사는 어떤 의미의 전문가인가 | 이형빈 PDF 

194 노동자로서의 교사 | 조영선 PDF 


리뷰

202 나의 진로교육엔 밟고 올라갈 사다리가 없었다 | 진영준 PDF 

- 《십 대 밑바닥 노동》

209 기억된 미래 혹은 기억의 정치학 | 정용주 PDF 

- 《나무에게서 온 편지》


217 한번 해 볼까! - 2015년, 내가 실천하고 싶은 한 가지

| 조해수, 정이든, 전보선, 임덕연, 이순임, 엄영숙, 양은숙, 나랑, 김소희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