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3호] 그들의 5년, 우리의 5년

조회수 834


그들의 5년, 우리의 5년

 

지난달 25일, 박근혜 정부가 공식 출범했다.

이른바 ‘멘붕’으로 표현되었던, 상식적인 사람들의 충격과 경악은

일상 앞에서 조금씩 무뎌져 가고 있는 듯하다.

 

우리는 또 5년이 어서 지나가기를,

그때는 또 다른 누군가가 짠 하고 나타나기를 고대하면서

우리가 ‘지금 여기’에서 해야 할 역할들을 방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명박 정부 5년은 한마디로 그런 기대로

희망을 계속 유예하면서 실천들을 거세해 온 시간이었다. 

 

그리고 우리는 다시 박근혜 정부 5년을 보내야 하는 위치에 서 있다.

그들이 준비하고 있는 5년은 무엇이고, 우리는 이 5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차례


바라보다

탈핵 소망 | 최승훈 기자 PDF

 

특집 그들의 5년, 우리의 5년 PDF

“골방에서 나와 함께 떠들자” | 이계삼, 이형빈, 정용주, 조영선 PDF 

폭력의 반대말은 안전입니까? | 한낱 PDF 

분배 정의를 넘어 ‘민주주의적 정의’로서 복지를 말하기 | 장은주 PDF 

 

나에게 3.11 | 서경식 PDF 

아베 정권의 교육정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 | 김종구 PDF 

‘청소년운동론’ 예고편 | 공현 PDF 

 

지상중계 -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당신은 학생에게 얼마나 ‘유용한’ 존재인가? | 엄기호 PDF 

 

나는 왜 공부하는가

중심에서 벗어난 공부를 꿈꾼다| 하승우 PDF 

 

묵은 먼지를 털며

그 숨결 남아 아직 청송길은 푸르른데 | 배주영 PDF 

 

잉여의 교육학

이제는 게임이다 | 석영 PDF 

 

한일 청년 관찰기

니트론의 현재 | 후쿠시마 미노리 PDF 

 

에세이

자치는 연극이 아니다 | 이윤승 PDF 

그리고 학교는 무사했다 | 임동헌 PDF 

 

리뷰

드라마는 끝났지만 결코 끝나지 않은 이야기들에 대해 | 조향미, 난다, 조해수 PDF 

- 드라마 〈학교 2013〉

우리의 ‘하찮은’ 힘들이 세상을 바꿀 거야 | 최은정 PDF 

- 《외면하지 않을 권리》

 

교육학 연구 동향

지난한 실천의 산물로서 북유럽 교육 다시 만나기 | 이형빈 PDF 

 

윤지형이 만난 사람

삶과 교육의 ‘농적農的 전환’을 꿈꾸다 | 윤지형, 사진 최승훈 기자 PDF 

- 교육농(農)연구소 박형일

 

읽기 모임 순례기 - 경인천 편

“비루한 현실을 보면서 더 위로를 받아요” | 최은정 기자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