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좌 신청 : https://bit.ly/3fJLyKN
교육방법론으로서의 생태철학
우리가 목도하는 기후위기, 환경 오염, 자원 고갈, 코로나 팬데믹, 불평등 문제 등은 근본적인 삶의 전환을 요청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은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근대적 지식 체계를 재구성하거나 재배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어떻게(How)” ‘앎과 함’으로 연결할 것인가도 중요하다. 교육의 내용뿐만 아니라 방법론에서도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생태철학은 교육의 방법론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다. 특히 생태적 지혜와 정동(affect)에 대한 깊은 이해는 방법론적 전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방법론은 수업 기술이 아니라 사실상 인식론의 전환을 의미하고 그런 의미에서는 그 자체로 내용이기도 하다.
이 강좌는 생태철학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방법론을 탐색하는 자리이고, 선험적인 책임 주체를 만드는 근대적 교육방법론을 넘어, 너와 나 사이에서 주체를 형성하는 방법론을 익히는 여정이 될 것이다.
강사
신승철 생태적지혜연구소
일시
6.11~7.16. 매주 금요일, 저녁 8시~10시
장소
전환교육연구소(zoom 병행)*서울 마포구 성미산로1길30, 2층
수강료
10만 원(벗 조합원 무료)*입금계좌 국민은행 543001-01-341365
내용
1주(6월 11일) : 구성주의 방법론과 교사공동체의 미래
2주(6월 18일) : 다기능적인 정동의 미학화로서의 돌봄
3주(6월 25일) : 복잡계로서의 생태계에서의 도표(=지도제작)주의 방법론
4주(7월 2일) : 횡단성으로서의 교사와 학생의 거리조절, 생태시민성과 사회성
5주(7월 9일) : 사회의 실험화로서의 근대교육과 실험실 사회화의 윤리
6주(7월 16일) : 스튜어드십, 구성적 인간을 형성하는 ‘판 짜는 자’로서의 교사
*신승철은 ‘생태적지혜연구소’ 이사장으로 《탄소자본주의》, 《가난의 서재》, 《구성주의와 자율성》, 《생태계의 도표》, 《지구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등을 썼다.
강좌 신청
https://bit.ly/3fJLyKN
강좌 신청 : https://bit.ly/3fJLyKN
교육방법론으로서의 생태철학
우리가 목도하는 기후위기, 환경 오염, 자원 고갈, 코로나 팬데믹, 불평등 문제 등은 근본적인 삶의 전환을 요청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은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근대적 지식 체계를 재구성하거나 재배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어떻게(How)” ‘앎과 함’으로 연결할 것인가도 중요하다. 교육의 내용뿐만 아니라 방법론에서도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생태철학은 교육의 방법론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다. 특히 생태적 지혜와 정동(affect)에 대한 깊은 이해는 방법론적 전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방법론은 수업 기술이 아니라 사실상 인식론의 전환을 의미하고 그런 의미에서는 그 자체로 내용이기도 하다.
이 강좌는 생태철학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방법론을 탐색하는 자리이고, 선험적인 책임 주체를 만드는 근대적 교육방법론을 넘어, 너와 나 사이에서 주체를 형성하는 방법론을 익히는 여정이 될 것이다.
강사
신승철 생태적지혜연구소
일시
6.11~7.16. 매주 금요일, 저녁 8시~10시
장소
전환교육연구소(zoom 병행)*서울 마포구 성미산로1길30, 2층
수강료
10만 원(벗 조합원 무료)*입금계좌 국민은행 543001-01-341365
내용
1주(6월 11일) : 구성주의 방법론과 교사공동체의 미래
2주(6월 18일) : 다기능적인 정동의 미학화로서의 돌봄
3주(6월 25일) : 복잡계로서의 생태계에서의 도표(=지도제작)주의 방법론
4주(7월 2일) : 횡단성으로서의 교사와 학생의 거리조절, 생태시민성과 사회성
5주(7월 9일) : 사회의 실험화로서의 근대교육과 실험실 사회화의 윤리
6주(7월 16일) : 스튜어드십, 구성적 인간을 형성하는 ‘판 짜는 자’로서의 교사
*신승철은 ‘생태적지혜연구소’ 이사장으로 《탄소자본주의》, 《가난의 서재》, 《구성주의와 자율성》, 《생태계의 도표》, 《지구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등을 썼다.
강좌 신청
https://bit.ly/3fJLyK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