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동체벗 전환교육연구소
전환의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전환
세 번째 포럼 -교육과정의 생태적 전환과 자율성
국가와 시장이 장악한 교육에서 ‘자율’은 교육 가능성의 열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과정 논의는 주로 국가가 독점했던 권한을 시혜적으로 나누어 주는 방식에 갇혀 있습니다. 교육에서 자율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교육과정 역학에서 자율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전환의 공간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지 더 넓고 깊은 논의를 시작할 때입니다. 세 번째 포럼에서 이야기의 물꼬를 트려고 합니다.
발표
윤상혁(서울시교육청)
토론
신은희(충북교육정책연구소)
정미숙(창덕여자고등학교)
정용주(서울탑산초등학교)
일시
2022년 8월 12일 금요일 오후 8시
줌(ZOOM)
참가 신청
forms.gle/wwfmW7QpKds6ENTQ7
(앞선 포럼에 신청하시면서 이후 안내에 동의하신 분들은 다시 신청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예고
네 번째 포럼은 진로 교육을 주제로 9월에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2년 9월 16일 금요일 오후 8시
교육공동체벗 전환교육연구소
전환의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전환
세 번째 포럼 -교육과정의 생태적 전환과 자율성
국가와 시장이 장악한 교육에서 ‘자율’은 교육 가능성의 열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과정 논의는 주로 국가가 독점했던 권한을 시혜적으로 나누어 주는 방식에 갇혀 있습니다. 교육에서 자율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교육과정 역학에서 자율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전환의 공간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지 더 넓고 깊은 논의를 시작할 때입니다. 세 번째 포럼에서 이야기의 물꼬를 트려고 합니다.
발표
윤상혁(서울시교육청)
토론
신은희(충북교육정책연구소)
정미숙(창덕여자고등학교)
정용주(서울탑산초등학교)
일시
2022년 8월 12일 금요일 오후 8시
줌(ZOOM)
참가 신청
forms.gle/wwfmW7QpKds6ENTQ7
(앞선 포럼에 신청하시면서 이후 안내에 동의하신 분들은 다시 신청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예고
네 번째 포럼은 진로 교육을 주제로 9월에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2년 9월 16일 금요일 오후 8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