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3월 7일 금
사무국 풀씨입니다.
6일 오전 서버 문제로 홈페이지 접속이 되질 않았습니다만 지금은 접속이 잘 되고 있습니다.
3월 15일 북토크를 비롯해 몇 가지 소식 전합니다.
지난 통신에도 말씀드렸지만, 《오늘의 교육》을 학교 구독 신청해 주세요. 교육적 고민을 거듭하며 만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가 닿을 수 있도록 힘써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구독 신청 : 벗 사무국 02-332-0712 또는 010-4827-0712)
그럼 곧 또 뵙겠습니다.
오늘의 교육을 열며_84호
광장은 언제, 어떻게 닫히는가
12.3 내란 이후 두 달 정도가 지났다. 1월 중순까지만 해도 숨 가쁘게 달려 나가는 사태를 쫓아가기도 버거웠다 ...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구속 이후 사태는 진정 국면에 진입한 것처럼 보인다. 이 시점에 오래된 질문을 제기하며 《오늘의 교육》을 열어 보고자 한다. 그래서 광장은 언제, 어떻게 닫히는가?
>>>글 읽기
북토크 - 3월 15일(토)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의 공저자이자 성미산마을의 이웃이기도 한 만화가 소복이와 서한영교 작가를 모시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어린이의 마음과 정서를 섬세하게 포착해 내는 만화가 소복이,
그리고 젠더, 장애, 교육을 가로지르며 시적이고 아름다운 글을 쓰는 서한영교 작가와 함께 어떤 어른으로 어린이의 곁에 함께할지를 모색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신간


다름으로 환대하며 존재로 가르치는 - 별별 교사들 2
>>>자세히 보기
우리는 왜 그림을 못 그리게 되었을까 - 어린이의 성장과 미술교육
>>>자세히 보기
2025년 2월 결산
>>>결산 보기
안내 | 인권교육센터 ‘들’ 워크숍
《인권교육 새로고침》(교육공동체 벗 출간)을 저술한 인권교육센터 ‘들’에서 아래와 같은 교육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뚝딱뚝딱 새로 쓰는 인권교육의 문법
- 적용 사례 만나기 워크숍
인권교육센터 ‘들’은 “인권의 문법을 다시 쓰자”는 제안을 스스로 실천하는 2024년을 보냈습니다. 그 도전기를 공유하며 인권교육의 나침반을 다시 다듬어보고픈 이들을 위한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인권교육의 목표 점검부터 그에 따른 접근법의 변화와 실제 적용 사례까지! 인권교육 방법론을 기법이 아닌 철학으로 궁리해온 시간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광장에서 새로운 움직임과 교육의 장이 열리고 있는 이 시기에 우리의 교육도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함께해 주실 벗들을 기다립니다.
| 때 : 2025년 3월 29일(토) / 4월 5일(토)
| 곳 : 민주노총 교육원(경향신문사 15층)
| 참가비 : 전일 8만원 (선착순 30명)
* 들 회원과 청소년은 7만원
| 참여 신청 : https://forms.gle/5wSWgFnKNwdJK9GAA
| 워크숍 내용: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1강: 책임질 권리, 차별하지 않을 권리를 어떻게 교육할까
2강: 발달장애인과 함께한 인권교육 도전기
3강: 재난피해자와 함께한 서사 교육
4강: 민주적 조직문화와 ‘리더십’의 재구성 교육
| 문의 : 02-365-5412 / dlhredu@gmail.com
| 주최 : 인권교육센터 들
인권교육센터 ‘들’ 자세히 보기
이렇게 소식을 전하고 있어요
‘교육공동체 벗’이라는 이름의 페이스북 페이지와 그룹, 인스타그램, 엑스(트위터) 계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NS에 남겨 주시는 후기와 의견들을 보며 힘을 얻는답니다. 또, 조합원들이 자유롭게 소식과 의견을 나누는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 입장하기
>>>교육공동체 벗 도서목록
>>>오늘의 교육 총목차
>>>전자책 발행 목록
>>>정기구독과 가입 안내
2025년 3월 7일 금
사무국 풀씨입니다.
6일 오전 서버 문제로 홈페이지 접속이 되질 않았습니다만 지금은 접속이 잘 되고 있습니다.
3월 15일 북토크를 비롯해 몇 가지 소식 전합니다.
지난 통신에도 말씀드렸지만, 《오늘의 교육》을 학교 구독 신청해 주세요. 교육적 고민을 거듭하며 만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가 닿을 수 있도록 힘써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구독 신청 : 벗 사무국 02-332-0712 또는 010-4827-0712)
그럼 곧 또 뵙겠습니다.
오늘의 교육을 열며_84호
광장은 언제, 어떻게 닫히는가
12.3 내란 이후 두 달 정도가 지났다. 1월 중순까지만 해도 숨 가쁘게 달려 나가는 사태를 쫓아가기도 버거웠다 ...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구속 이후 사태는 진정 국면에 진입한 것처럼 보인다. 이 시점에 오래된 질문을 제기하며 《오늘의 교육》을 열어 보고자 한다. 그래서 광장은 언제, 어떻게 닫히는가?
>>>글 읽기
북토크 - 3월 15일(토)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의 공저자이자 성미산마을의 이웃이기도 한 만화가 소복이와 서한영교 작가를 모시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어린이의 마음과 정서를 섬세하게 포착해 내는 만화가 소복이,
그리고 젠더, 장애, 교육을 가로지르며 시적이고 아름다운 글을 쓰는 서한영교 작가와 함께 어떤 어른으로 어린이의 곁에 함께할지를 모색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신간
다름으로 환대하며 존재로 가르치는 - 별별 교사들 2
>>>자세히 보기
우리는 왜 그림을 못 그리게 되었을까 - 어린이의 성장과 미술교육
>>>자세히 보기
2025년 2월 결산
>>>결산 보기
안내 | 인권교육센터 ‘들’ 워크숍
《인권교육 새로고침》(교육공동체 벗 출간)을 저술한 인권교육센터 ‘들’에서 아래와 같은 교육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뚝딱뚝딱 새로 쓰는 인권교육의 문법
- 적용 사례 만나기 워크숍
인권교육센터 ‘들’은 “인권의 문법을 다시 쓰자”는 제안을 스스로 실천하는 2024년을 보냈습니다. 그 도전기를 공유하며 인권교육의 나침반을 다시 다듬어보고픈 이들을 위한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인권교육의 목표 점검부터 그에 따른 접근법의 변화와 실제 적용 사례까지! 인권교육 방법론을 기법이 아닌 철학으로 궁리해온 시간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광장에서 새로운 움직임과 교육의 장이 열리고 있는 이 시기에 우리의 교육도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함께해 주실 벗들을 기다립니다.
| 때 : 2025년 3월 29일(토) / 4월 5일(토)
| 곳 : 민주노총 교육원(경향신문사 15층)
| 참가비 : 전일 8만원 (선착순 30명)
* 들 회원과 청소년은 7만원
| 참여 신청 : https://forms.gle/5wSWgFnKNwdJK9GAA
| 워크숍 내용: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1강: 책임질 권리, 차별하지 않을 권리를 어떻게 교육할까
2강: 발달장애인과 함께한 인권교육 도전기
3강: 재난피해자와 함께한 서사 교육
4강: 민주적 조직문화와 ‘리더십’의 재구성 교육
| 문의 : 02-365-5412 / dlhredu@gmail.com
| 주최 : 인권교육센터 들
인권교육센터 ‘들’ 자세히 보기
이렇게 소식을 전하고 있어요
‘교육공동체 벗’이라는 이름의 페이스북 페이지와 그룹, 인스타그램, 엑스(트위터) 계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NS에 남겨 주시는 후기와 의견들을 보며 힘을 얻는답니다. 또, 조합원들이 자유롭게 소식과 의견을 나누는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 입장하기
>>>교육공동체 벗 도서목록
>>>오늘의 교육 총목차
>>>전자책 발행 목록
>>>정기구독과 가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