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벗 사무국입니다.
오늘의 교육 86호 특집, 〈계몽의 한계, 구원의 모순〉에서 박권일은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이 실패하는 이유를 능력주의와 성찰의 결핍에서 찾고 있습니다. 학교는 평등과 민주주의를 가르치지만, 실제 사회는 시험과 경쟁, 서열 중심의 능력주의로 작동하는데, 문제는 이 두 가치가 단순히 충돌하는 것을 넘어, 능력주의가 교육을 압도하고 있다는 거죠.
관련해서 단행본 《능력주의와 불평등》과 더불어 저자들 인터뷰를 소개합니다. 기회의 평등이라는 말에 속지 말라는 故 홍세화 선생님 말씀도 눈에 띄네요.
능력주의와 불평등
한국의 교육과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능력주의를 분석하고 그 해악을 비판한다

소수자를 배려한 입시 전형이 수험생들의 반감을 사고, ‘전교 1등’을 자부하는 의사들은 공공 의대 출신 의사가 실력이 떨어질 것이라며 반대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공정하지 않다’는 반발에 부딪힌다. 이런 모습들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예전부터 한국 사회의 공공연한 룰이었던, ‘억울하면 열심히 공부해서 출세하라’, ‘못사는 건 노력을 게을리하고 공부 못한 개인의 탓이다’라는 능력주의가 두드러지게 표출된 모습이었을 뿐이다.
자세히 보기
능력주의와 불평등 저자 인터뷰
① 공현 “왜 지금, 능력주의인가?”
② 박권일 “능력주의, 오작동이 문제인가?”
③ 정용주 “공정한 경쟁이 불평등을 재생산한다고?”
④ 채효정 “학벌없는사회 운동의 한 시대를 돌아보다”
⑤ 홍세화 “‘기회의 평등’이라는 말에 속지 않기를”

세계를 휩쓰는 극우·극단주의에서 한국도 전혀 예외가 아니다. ‘일베(일간베스트저장소)’의 등장 직후, 청년 세대의 극우화 역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오래 전부터 완연했던 그 흐름은 윤석열 정권 들어 더욱 거세졌고, 급기야 법원을 습격하는 폭동으로 번졌다. 이런 시대이기에 “내 아들을 극우 유튜버에서 구출해 왔다”는 어느 진보 성향 교육학자의 글이 크게 화제가 된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글 이어 보기
그럼 곧 또 소식 전하겠습니다.
|>>>교육공동체 벗 도서목록 | >>>오늘의 교육 총목차 | >>>전자책 발행 목록 | >>>정기구독과 가입 안내
|>>> 조합 가입하기
교육공동체 벗은 배움과 나눔의 공동체로서 우정으로 연대하며 참여와 소통을 통해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공존공생의 삶을 나눕니다.
벗 사무국입니다.
오늘의 교육 86호 특집, 〈계몽의 한계, 구원의 모순〉에서 박권일은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이 실패하는 이유를 능력주의와 성찰의 결핍에서 찾고 있습니다. 학교는 평등과 민주주의를 가르치지만, 실제 사회는 시험과 경쟁, 서열 중심의 능력주의로 작동하는데, 문제는 이 두 가치가 단순히 충돌하는 것을 넘어, 능력주의가 교육을 압도하고 있다는 거죠.
관련해서 단행본 《능력주의와 불평등》과 더불어 저자들 인터뷰를 소개합니다. 기회의 평등이라는 말에 속지 말라는 故 홍세화 선생님 말씀도 눈에 띄네요.
능력주의와 불평등
한국의 교육과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능력주의를 분석하고 그 해악을 비판한다
소수자를 배려한 입시 전형이 수험생들의 반감을 사고, ‘전교 1등’을 자부하는 의사들은 공공 의대 출신 의사가 실력이 떨어질 것이라며 반대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공정하지 않다’는 반발에 부딪힌다. 이런 모습들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예전부터 한국 사회의 공공연한 룰이었던, ‘억울하면 열심히 공부해서 출세하라’, ‘못사는 건 노력을 게을리하고 공부 못한 개인의 탓이다’라는 능력주의가 두드러지게 표출된 모습이었을 뿐이다.
자세히 보기
능력주의와 불평등 저자 인터뷰
① 공현 “왜 지금, 능력주의인가?”
② 박권일 “능력주의, 오작동이 문제인가?”
③ 정용주 “공정한 경쟁이 불평등을 재생산한다고?”
④ 채효정 “학벌없는사회 운동의 한 시대를 돌아보다”
⑤ 홍세화 “‘기회의 평등’이라는 말에 속지 않기를”
세계를 휩쓰는 극우·극단주의에서 한국도 전혀 예외가 아니다. ‘일베(일간베스트저장소)’의 등장 직후, 청년 세대의 극우화 역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오래 전부터 완연했던 그 흐름은 윤석열 정권 들어 더욱 거세졌고, 급기야 법원을 습격하는 폭동으로 번졌다. 이런 시대이기에 “내 아들을 극우 유튜버에서 구출해 왔다”는 어느 진보 성향 교육학자의 글이 크게 화제가 된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글 이어 보기
그럼 곧 또 소식 전하겠습니다.
|>>>교육공동체 벗 도서목록 | >>>오늘의 교육 총목차 | >>>전자책 발행 목록 | >>>정기구독과 가입 안내
|>>> 조합 가입하기
교육공동체 벗은 배움과 나눔의 공동체로서 우정으로 연대하며 참여와 소통을 통해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공존공생의 삶을 나눕니다.